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14

[Docker] mariadb 포트 포워딩 docker run --detach --name mariadb --env MYSQL_ROOT_PASSWORD=a1234 -p 3307:3306 -v /data/docker/mariadb:/var/lib/mysql mariadb docker run --detach --name mariadb --env MYSQL_ROOT_PASSWORD=패스워드 -p 포트지정:3306 -v 연결할 경로지정:/var/lib/mysql mariadb * 포트 지정 시 앞이 로컬호스트임. 2023. 10. 24.
[Nvidia] 0.5초에 한번씩 갱신하는 nvidia-smi (실시간으로 보는 법) watch -d -n 0.5 nvidia-smi 0.5 자리에 원하는 초를 넣어도 된다. * -d : 갱신할 때마다 변경되는 숫자는 하이라이트로 표시해준다. * -n : 뒤의 숫자는 시간 간격을 나타내며, 초 단위이다. 2023. 10. 24.
[Oracle] ERROR:ORA-12162: TNS:net service name is incorrectly specified 해결방법 * 원인 1. 해당 오라클 계정의 ORACLE_SID 가 설정되어있지 않아서 발생. 2. ORACLE_SID의 설정 값은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의미. * 해결방법 1. SID는 없으나 Service name은 있는 경우, Service name으로 접속할 수 있다. sqlplus 유저네임/패스워드@서비스명 as sysdba ex) sqlplus sys/a1234@orcl as sysdba 또는 sqlplus 유저네임/패스워드@//localhost:포트/서비스명 ex) sqlplus system/a1234@localhost:1521/orcl 2. sqlplus 접속 성공 * 참고 SID 와 Service name 의 차이는?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면서 SID와 Service name은 거의 구분하지 않.. 2023. 10. 24.
[Intellij] 톰캣 한글깨짐 한글 UTF-8 인코딩 설정 로그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나타난다면 VM 옵션에 다음 옵션을 넣어보자. -Dfile.encoding=UTF-8 2023. 4. 24.
[Tomcat] 리눅스 환경에서 실시간 로그 보기 Intellij 나 이클립스와 같은 툴을 사용하면 로그를 쉽게 볼 수 있지만 리눅스 환경에서 실시간 로그를 보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. 1. 먼저, 톰캣폴더의 로그 폴더에 접속한다. cd /data/tomcat/apache-tomcat-9.0.69/logs 2. 해당 명령어를 입력한다. tail -f catalina.out 3. 창을 하나 더 띄워 서버를 올리면 실시간으로 로그가 찍히는 것을 볼 수 있다. 2023. 4. 24.
[MySQL] Auto increment 숫자 지정 시작번호를 원하는 숫자로 지정하고자 할 때, 예를 들어 11부터 시작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. ALTER TABLE TB_TEST AUTO_INCREMENT=11; 초기화하고 싶다면, TRUNCATE TABLE TB_TEST; 2023. 1. 5.
반응형